카카오페이 교통카드 사용법 - 1분 꿀팁

2023. 5. 11. 10:46카테고리 없음

반응형

지하철역까지 갔다가 다시 집으로 돌아왔습니다. 지갑을 두고 왔거든요. 갤럭시 유저지만 삼성페이를 안 써서 실물카드를 쓰고 있었습니다. 오늘 안 사실인데, 카카오 페이를 교통카드로 사용할 수 있었더군요. 오늘은 카카오페이 교통카드 사용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스마트폰으로 태그하는 이미지
카카오페이를 교통카드 처럼 사용할 수 있다?

 

카카오페이 교통카드 장단점

1. 카카오페이 교통카드 장점

카카오페이 교통카드의 장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 교통카드 충전 수수료가 발생하지 않음
  • 티머니, 캐시비 카드를 발급받지 않아도 됨

가장 큰 장점은 수수료가 없다는 점입니다. 삼성페이는 티머니,캐시비 카드를 사용하는데 2%의 수수료가 있어요. 내 돈 내고 내가 지하철 타는데 또 수수료를 떼어야 한다는 얘기지요.

티머니, 캐시비 카드를 별도로 발급받지 않아도 된다는 점도 좋습니다. 안 그래도 카드가 많은데 하나 더 발급받는 것도 피곤한 일이죠. 카카오페이는 교통카드를 별도 등록할 필요가 없습니다. 교통비가 나갈 계좌만 설정해 주면 되어 편리해요.

2. 카카오페이 교통카드 단점

카카오페이 교통카드의 단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 아이폰에서는 사용할 수 없음(NFC 기능 때문)
  • 잠금화면까지는 켜야 사용할 수 있음

아이폰에서는 현재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애플페이 도입으로 NFC 결제는 가능해요. 하지만 대중교통에서는 사용이 불가합니다. 애플에서 이 기능을 아직 막아두고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애플페이도 이제 되는 마당에 곧 대중교통에서도 쓸 수 있는 날이 올 것 같습니다. (물론 된다면 애플페이 쓰면 되기 때문에 카카오페이 교통카드를 쓸 일은 없겠지만요?)

잠금화면까지 켜야 하는 것도 단점입니다. 삼성페이 교통카드의 경우에는 화면이 꺼진 상태에서도 교통카드 태그가 돼요. 반면 카카오페이 교통카드는 전원버튼을 한 번 눌러서 잠금화면까지는 켜줘야 작동이 됩니다. 크게 불편한 사항은 아닌데요. 사람이 많을 때, 바쁠 때, 한 손에 짐을 들고 있고 한 손으로만 핸드폰을 조작해야 하는데 전원버튼이 멀어서 손가락이 안 닿을 때 등등 가끔씩 불편한 점은 있었습니다.

 

카카오페이 교통카드 사용법

카카오페이 교통카드 사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카카오 페이 앱 열기
  2. 모바일 교통카드 메뉴 열기 ( 돋보기 > '교통카드' 검색 > 모바일 교통카드 )
  3. 교통카드 발급하기
  4. 소득공제 신청하기
  5. NFC 모드 활성화하기
  6. 다른 교통카드앱 삭제하기
  7. 선불금 충전하기 ( 1만원 )
  8. 교통카드 사용하기 ( 핸드폰 켜고 찍기 )

위 설명만으로는 이해가 좀 어렵다면? 아래 포스팅을 천천히 따라와 주세요.

1. 카카오 페이 열기

카카오 페이를 여는 방법은 아래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둘 중 쉬운 방법으로 선택하시면 됩니다.

  • 카카오 페이 앱 실행
  • 카카오톡 > 하단의 '점 세개' 아이콘 클릭 > 카카오페이 아이콘 클릭

카카오톡 앱에서 카카오페이 여는 방법
카카오톡 앱에서 카카오페이 여는 방법

 

2. '모바일 교통카드' 메뉴 열기

카카오페이에서 '모바일 교통카드' 메뉴를 찾는 방법은 아래 두 가지가 있습니다. 본인이 편하신 방법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 돋보기 > '교통카드' 검색 > 모바일 교통카드

카카오페이에서 교통카드 기능 검색하는 이미지

  • 전체 > 결제 > 모바일 교통카드

카카오페이에서 모바일 교통카드 기능 찾는 방법 이미지

 

3. 교통카드 발급하기

모바일 교통카드 발급하는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1. 모바일 교통카드 발급하기 버튼 클릭
  2. 서비스 약관 동의
  3. 연동계좌 설정하기
  4. 납부일 설정
  5. 선불/후불 선택

결제방식은 후불 교통카드를 추천드립니다. 후불은 본인의 사용내역에 따라서 자동으로 충전과 결제가 이루어지는 방식이에요. 결제 관련 본인이 신경 쓸 게 없죠.

반면 선불을 선택하게 되면 결제일이 다가오기 전에 별도로 충전을 해야 합니다. 연체되지 않으려면 본인이 사용한 금액을 파악한 다음 그 금액 이상을 미리 충전해야 해요. 굉장히 번거로운 일입니다.

4. 소득공제 신청하기

대중교통 이용한 금액은 연말에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소득공제 신청을 해야만 적용받을 수 있고 신청한 이후 사용내역에 대해서만 적용돼요. 소급적용이 안 되기 때문에 교통카드 발급 직후 소득공제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신청방법은 아래와 같아요.

  1. 모바일 교통카드 메인 화면에서 '점 세개' 메뉴 클릭
  2. 소득공제 등록 버튼 클릭 후 등록

소득공제 신청하는 방법

5. NFC 설정

카카오페이 교통카드를 사용하려면 NFC 기능을 활성화해야 합니다. 카카오페이 교통카드 안됨 오류가 발생하면 아래 NFC 활성화방법을 참고하세요.

  • 화면 상단 메뉴바 내리기 > NFC 활성화

상단바에서 NFC 켜는 방법

카카오페이 교통카드 NFC 카드모드에는 두 가지가 있어요. '기본모드'와 '카드모드' 입니다. 어떤 것을 선택해도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으니 고민하지 마세요.

두 모드의 차이가 있다면 '기본모드'는 '카드모드'보다 기능이 더 다양하기 때문에 배터리 소모량이 크다는 점입니다. 평상시에는 카드모드를 사용하는 게 좋겠죠?

6. 다른 교통카드 삭제

만일 다른 교통카드 앱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삭제해 주셔야 합니다. 교통카드 앱이 2개인 경우 중복결제의 위험이 있기 때문이에요.

저 같은 경우에는 NH 콕뱅크가 설치되어 있었는데요. 이 앱을 삭제하지 않으면 카카오페이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없다고 메시지가 계속 떠서 결국엔 삭제했습니다. 나중에 필요할 때 다시 설치해야겠네요.

7. 선불금 충전

처음 이용할 때에는 선불금 1만 원을 충전해야 합니다. 본인이 '후불' 방식의 결제를 선택했더라도 최초 선불금은 충전하셔야 해요.

8. 교통카드 사용하기

이제 카카오페이 교통카드를 실제 사용할 차례입니다. 사용법은 매우 쉬워요.

  1. 전원버튼을 한번 눌러 잠금화면을 켠다
  2. 단말기에 핸드폰을 갖다 댄다

카카오페이 교통카드는 핸드폰 화면은 켜져 있어야 작동됩니다. 전원버튼을 눌러 잠금화면까지만 열어도 작동됩니다. 잠금화면을 해제할 필요는 없어요. 카카오페이 교통카드 인식 안됨 문제는 대부분 화면을 켜지 않고 사용해서 발생해요. 

카카오페이 교통카드 사용방법 이미지
카카오페이 교통카드, 잠금화면은 켜야 작동이 된다!


오늘은 카카오페이 교통카드 사용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티머니, 캐시비 발급하기 귀찮아서 삼성페이 안 쓰고 계셨던, 저 같은 분들이 있었다면 좋은 정보가 아니었을까 싶네요. NFC란 기능이 참 신통방통한 것 같습니다.

 

반응형